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가구 2주택 제외 주택 기준 알아보기

 

 

▶️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 1 가구 2 주택 제외 주택 기준 "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확인하는 방법은?

1️⃣ 정부24 또는 홈택스에서
주택 보유 내역 및 세대 정보 조회 가능


2️⃣ 해당 시·군·구청 세무과에서도 1 가구 2 주택 여부 확인 상담 가능

특히 양도세 계산 시에는 세무사 상담이 매우 유리합니다.
→ 간단한 1가구 2주택 확인이 수천만 원 세금 절약이 될 수 있어요!

 

 

정부 24 바로가기 👆🏻

 

 

 

 

 

💡 1 가구 2 주택 제외 기준이 중요한 이유

👨🏻‍🏫 주택이 2채 이상인 경우,
📌 종합부동산세·양도소득세 등에서 중과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는 일시적 2 주택이나 예외주택으로 간주되어
⚠️중과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일시적 2주택 (기존 주택 처분猶予)

신규 주택을 먼저 취득하고, 기존 주택을 일정 기간 내에 처분하는 경우
일시적 2 주택으로 인정됩니다.

📆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도권 → 1년 이내 기존 주택 매각
  • 비수도권 → 2년 이내 매각
  • 종부세에서는 ‘2년’까지 인정되는 경우도 있음

⚠️ 단, 새 집을 먼저 사야 하며, 기존 집은 처분 예정이어야 합니다!

 

 

 

 

 

💡 부모님/자녀가 거주하는 지방 저가주택

  • 기준시가 3억 원 이하
  • 수도권 이외 지역
  • 직계존속 또는 직계비속이 실거주
    → 이 경우는 '부양 목적' 주택으로 간주되어 제외 가능

📌 실제로 부모님 집을 상속·증여받은 경우에도 해당될 수 있습니다.

 

 

 

 

 

💡 지방 소형 임대주택

  • 1 주택 + 소형 임대주택
  • 60㎡ 이하 / 기준시가 3억 원 이하 / 5년 이상 임대
    → 종부세상 '1세대 1 주택'으로 인정될 수 있음

⚠️ 단순 보유만으로는 제외 안 됩니다!
반드시 임대사업자 등록 + 요건 충족이 필요합니다.

 

 

 

 

 

💡 별도주택으로 보지 않는 공동주택

  • 세대 분리가 안된 한 집에 두 가구 있는 경우
    예: 다가구주택, 2세대가 함께 사는 단독주택
    등기상은 2 주택이나, 실거주는 1 주택으로 보기도 함

이 경우에는 주택 수 계산 시 1 주택으로 계산됩니다.

 

 

 

 

💡2 주택 간주되는 사례들 (주의!)

🛑 분양권·입주권도 '주택 수'로 포함됩니다
🛑 자녀 명의 집에 세대원으로 함께 등재된 경우
🛑 부부가 이혼하지 않고 세대만 분리한 경우 (사실상 공동생활이면 1 가구로 판단)

→ 이런 경우는 제외 대상이 아닙니다. 세심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1가구 2주택 제외 주택 기준 알아보기
1가구 2주택 제외 주택 기준 알아보기3
1가구 2주택 제외 주택 기준 알아보기2
1가구 2주택 제외 주택 기준 알아보기1

반응형